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사용법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솟는 금리와 물가에 비하여 소득은 그대로인 상황에서 많은 분들이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출퇴근 시 이용하는 자가용의 기름값도 부담이 되는 현실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다면 가계부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혜택을 통하여 최대 30%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1.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 정류장까지 도보로 이동하거나 자전거등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받을 수 있으며 지하철, 버스등의 대중교통 요금 10%와 적립마일리지 20%로
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마일리지적립 방법과 할인혜택
1.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시 지하철, 버스요금의 10% 캐시백
2.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 (대중교통 하차 후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거리 포함)
※ 이동거리 최대 800m까지 800m 이상은 적립거리에서 제외, 월 상한 44회 까지
교통요금 지출액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마일리지 지급액 | 최대 250원 | 최대 350원 | 최대 450원 |
저소득층 마일리지 상향 지급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교통요금 지출액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마일리지 지급액 | 최대 500원 | 최대 700원 | 최대 900원 |
A 씨의 알뜰교통카드 활용사례
출근길에 나선 A 씨는 집에서 출발하여 버스정류장까지 도보로 600m를 이동하였습니다.
버스정류장에 도착한 A씨는 버스요금 1800원을 지출하고 회사 앞 정류장에 하차하였습니다.
버스 하차 후 회사까지 200m를 도보로 이동하여 회사에 도착하였습니다.
버스요금으로 1800원을 지출하고 도보로 총 800m를 이동하였습니다.
따라서 교통비 2천 원 미만 최대 250원의 기준표에 따라
A 씨는 250원의 마일리지를 적립받을 수 있으며, 버스요금 1800원의 10%인 180원을 추가로 캐시백 받을 수 있었습니다.
마일리지 적립 참고사항
*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에만 지급되며,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 시 마일리지를 2배 지급합니다.
#2. 마일리지 적립 사용방법
1. 카드사에 알뜰교통카드 신청
2. 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3.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후 카드등록
4. 알뜰교통 앱을 실행하여 출발지에서 "출발" 버튼클릭 도착지에서 "도착" 버튼 클릭
1.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도보로 이동하거나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 측정
2.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한 거리 측정
3. 카드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
4. 카드사로 부터 수신받은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카드에 입력된 출발/도착정보 일치여부 확인
5. 정보일치 확인 후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로 적립
* 환승 과정의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은 안드로이드 7, IOS 11 버전 이상의 스마트폰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3. 알뜰교통카드 종류
알뜰교통카드에는 선불카드와 후불카드 2종류가 있으며 개인의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선불카드
후불카드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홈페이지 또는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카드 신청 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 앱을 이용하여 출발 시에 출발버튼을, 도착 시에는 도착버튼을 일일이 눌러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이용하는 만큼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생활 속 정보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전기요금 할인 대가족/ 다자녀/ 출산가구 전기요금 할인 받기 (0) | 2023.01.03 |
---|---|
대중교통 조조할인 지하철 버스 요금 20%할인 정보 (0) | 2022.12.29 |
별도 가입없이 보장받는 무료 군복무상해보험 (0) | 2022.09.07 |
누구나 보장받는 무료 자전거보험 신청방법 보장금액 (0) | 2022.09.05 |
시민안전보험 보장범위 신청방법 카카오페이로 쉽게 확인하기 (0) | 2022.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