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보/생활정보

세계에서 가장 매운고추 순위 스코빌 지수 TOP8

by 윤이:) 2022. 8. 17.

세계에서 가장 매운고추 순위 스코빌 지수 TOP8 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사람들의 대부분은 매운맛을 좋아하며 한식에도 유독 매운 음식이 많은 편입니다.

매운맛은 실제로 존재하는 맛은 아니며 캡사이신과 반응하여 느껴지는 열감에 의한 통증이라고 하는데요

매운맛을 나타내는 스코빌 척도를 통하여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들의 순위를 정하고 있습니다.

 

 

스코빌 척도

스코빌 척도는 미국의 약사 윌버 스코빌 (Wilvur Scoville, 1865 ~ 1942)에 의하여 창시되었으며

SHU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가장 맵지 않음 0에서부터 시작하여 매운맛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SHU의 지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초창기 스코빌 척도가 만들어졌던 시기에는 사람이 직접 맛을 보면서 수치를 측정하였다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크로마토그래피라고 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8위] 풋고추 스코빌 지수 1,500 SHU


풋고추는 녹색 상태의 신선하고 풋풋하다는 뜻을 가진 풋과 고추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기본적으로는 맵지 않은 고추를 뜻하기도 합니다.

풋고추는 시간이 오래 지나다 보면 스스로 익어 빨갛게 홍고추가 되는데요

홍고추를 피망과 교잡하여 만든 것이 우리가 많이 먹는 오이 고추라고 합니다.

풋고추

[7위] 할라피뇨 스코빌 지수 10,000 SHU


멕시코가 원산지인 할라피뇨는 멕시코의 도시인 할라파 (Xalapa)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매운맛은 한국의 청양고추와 비슷하며 처음부터 매운맛이 느껴지지 않고 서서히 매운맛이 올라오는

특징이 있어 다양한 음들과의 조화가 좋습니다.

피가 두껍고 씹는 맛이 있어 피클이나 장아찌 등의 절임용 야채로 많이 사용됩니다.

할라피뇨

 

[6위] 청양고추 스코빌 지수 12,000 SHU


 

한국에서 개발된 고추 품종으로 경상북도 청송군과 영양군에서 한 글자씩 따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흔하게 많이 먹는 고추로 깔끔한 매운맛이 특징이며 음식에 넣어서 매운맛을 내기도 하고

쌈장이나 고추장 등에 찍어 생으로 먹기도 합니다.

한국의 다른 고추들에 비하여 캡사이신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청양고추

[5위] 페페론치노 스코빌 지수 30,000 SHU


일반적인 고추보다 훨씬 직은 크기로 청양고추보다 더욱 맵습니다.

청양고추처럼 생으로 씹어먹는 경우는 많이 없으며 대부분 소스나 기름에 넣고 끓여서 사용합니다.

매운맛은 섭취 후 서서히 올라오는 편이며 깊고 묵직한 매운맛을 냅니다.

음식에 사용할 때에는 통째로 넣기도 하며 칼이나 손으로 으깨어 넣기도 합니다.

페페론치노

[4위] 레드 사비나 하바네로 스코빌 지수 350,000 SHU


흔히 레드 사바나 하바네로로 잘못 알려져 있는 멕시코산 고추 품종으로 

정확한 이름은 레드 사비나 하바네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청양고추 스코빌 지수의 약 30배 높은 매운맛으로 2006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로 기네스북에 등록되었었습니다. 

생김새는 파프리카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하바네로를 전문적으로 이용하여 

요리를 하는 음식점에서는 방독면을 쓰고 요리를 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레드 사비나 하바네로

[3위] 부트 졸로키아 스코빌 지수 1,041,417 SHU


 

2013년까지 세계 최고 매운 고추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던 고추 품종으로 레드 사비나 하바네로 보다

약 3배 이상 매운맛을 냅니다. 스코빌 척도상으로 100만이 넘는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주로 인도 북동쪽의 아삼 지역과 방글라데시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매운 음식으로 유명한 신길동 매운 짬뽕, 신대방 온정 돈가스 (디진다 돈가스)에 

부트 졸리키아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부트 졸로키아

[2위] 캐롤라이나 리퍼 스코빌 지수 2,000,000 SHU


2013년 12월 부트 졸로키아를 제치고 세계 최고 매운 고추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고추 품종으로 

Reaper (사신), 저승사자라는 이름에 걸맞게 스코빌 지수가 평균 200만에 달합니다.

열매의 아랫부분에 꼬리가 길게 달린 모습을 보고 사신의 낫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처음 재배된 캐롤라이나 지역의 명칭과 합쳐져 캐롤라이나 리퍼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한국의 매운 라면으로 유명한 불 마왕 라면에 캐롤라이나 리퍼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캐롤라이나 리퍼

[1위] 페퍼 X 스코빌 지수 3,180,000 SHU


2017년 캐롤라이나 리퍼를 제치고 세계 최고 매운 고추에 등재된 페퍼 X는

캐롤라이나 리퍼를 만들었던 미국의 퍼커버트 페퍼 컴퍼니가 개발한 고추 품종입니다.

피망처럼 동그랗고 작은 크기에 색상은 연한 녹색을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코빌 지수는 300만을 넘으며 고추를 단독으로 먹는 것은 불가하며 증류 식초 등을 섞은

핫소스 등으로 섭취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닭고기나 인도음식과의 궁합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페퍼X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 순위 TOP8

  • 8위 풋고추
  • 7위 할라피뇨
  • 6위 청양고추
  • 5위 페페론치노
  • 4위 레드 사비나 하바네로
  • 3위 부트 졸로키아
  • 2위 캘로라이나 리퍼
  • 1위 페퍼 X

22년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는 페퍼 X 고추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매운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게 되면 소화기관을 자극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만큼

몸에 해롭지 않을 정도로 적당히 섭취하는 습관을 길러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