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보/생활정보

국민연금 일시수령 해지방법 반환일시금

by 윤이:) 2023. 3. 6.

국민연금 일시수령을 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을 해지하여 반환일시금으로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해지는 일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므로 그 요건을 잘 확인하신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목차>
▣ 국민연금 일시수령 조건
 1. 일시수령 가능 조건
 2. 국민연금 임의가입 제도
▣ 국민연금 일시수령 신청방법

국민연금 일시수령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방법 안내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자격 신청방법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자격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기준 월평균소득액 이하, 조기수령 가능 연령이 (만 55세 ~ 60세) 충족되어야 신청할 수 있으며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 서비스를

unilog27.tistory.com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 안내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수령 나이 확인하기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납부한 보험료에 예상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조회되며 실제 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에 따라 60세 ~ 65세부터 국민연금 수령이 가능하며 2023년 부

unilog27.tistory.com

국민연금 일시수령 조건

국민연금 일시수령을 뜻하는 반환일시금은 그동안 납부한 보험료에 이자를 더하여 일시금으로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단, 반환일시금은 연령이 만 60세에 도달했거나, 사망 또는 국적의 상실, 국외이주 사유로 더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없게 된 경우에만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일시수령 가능 조건

  •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인 사람이 만 60세가 된 경우
    *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이라도 연령이 만 60세가 되지 않은 사람은 일시금 수령이 불가합니다.
  •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하였으나 유족연금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국적을 상실하거나 국외로 이주한 경우

*반환일시금의 신청일은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이내 꼭 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5년 이후에는 보험금이 소멸되게 됩니다.

 

👉국민연금 일시수령 신청하기👈

 

국민연금 임의가입 제도

  • 만 60세가 되었으나 국민연금 가입기간인 10년을 채우지 못한 경우에 연금을 일시수령 받지 않고
    임의가입제도를 활용하여 보험금을 지속적으로 납부하여 가입기간인 10년을 채워 연금으로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 임의가입제도는 만 65세까지 납부 할 수 있으므로 본인이 65세까지 납부할 경우 10년을 채울 수 있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 가입기간 10년을 모두 채운 사람도 65세 까지 임의가입제도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보험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경우에 추후 수령받게 되는 연금 금액을 높힐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국민연금 임의가입제도 신청하기👈

 

국민연금 일시수령 신청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거주지 관할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거동이 불편하여 직접 방문이 어려운 분들의 경우에는 찾아가는 연금서비스를 통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로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상담 및 서류접수 등을
    도와드립니다.
    서비스 신청은 전국 국번 없이 1355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댓글